본문 바로가기
경제 · 생활 속 꿀팁

2025 자녀장려금 지급액 기준 총정리 : 나는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by 린씨 2025. 4. 18.
반응형

2025 자녀장려금 지급액 기준: 최대 100만원 현금지원, 소득별 차등지급 총정리

2025 자녀장려금 지급액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저소득 가구의 자녀 양육을 지원하기 위한 자녀장려금이 2025년에도 최대 100만원까지 지원됩니다. 자녀 양육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덜고 생활 안정을 돕기 위한 이 제도는 자녀 1명당 최대 100만원씩 지급되어, 자녀가 많을수록 더 많은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2025년 자녀장려금 지급액 기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자녀장려금 최대 지급액

2025년 자녀장려금은 자녀 1인당 최대 100만원까지 지급됩니다. 지급액은 신청 가구의 소득 수준과 재산에 따라 차등 지급되며, 기본적으로 자녀 1명당 최소 50만원에서 최대 10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자녀 1명: 최대 100만원
  • 자녀 2명: 최대 200만원
  • 자녀 3명: 최대 300만원

즉, 18세 미만 부양자녀가 많을수록 지급액은 늘어나게 됩니다. 하지만 소득이 일정 수준을 넘어가면 지급액이 차등적으로 감소하며, 부부합산 총소득이 7,000만원 이상이면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소득구간별 지급액 차등 기준

자녀장려금은 가구의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 가구 유형(홑벌이/맞벌이)과 총급여액에 따라 지급액이 달라지는데, 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지원금을 받게 됩니다.

홑벌이 가구 소득별 지급액

총급여액 구간 자녀 1인당 지급액 지급 비율
2,100만원 미만 100만원 100%
2,100만원 이상 ~ 7,000만원 미만 50만원 ~ 100만원 소득에 따라 차등
7,000만원 이상 0원 미지급

맞벌이 가구 소득별 지급액

총급여액 구간 자녀 1인당 지급액 지급 비율
2,500만원 미만 100만원 100%
2,500만원 이상 ~ 7,000만원 미만 50만원 ~ 100만원 소득에 따라 차등
7,000만원 이상 0원 미지급

 

 

재산에 따른 지급액 감액

자녀장려금은 소득뿐만 아니라 재산 상황에 따라서도 지급액이 달라집니다. 2024년 6월 1일 기준으로 가구원 모두의 재산 합계액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적용됩니다.

재산 합계액 지급 비율 최대 지급액
1.7억원 미만 100% 자녀 1인당 최대 100만원
1.7억원 이상 ~ 2.4억원 미만 50% 자녀 1인당 최대 50만원
2.4억원 이상 0% 지급 대상 제외

재산 계산 시 부채는 차감되지 않습니다. 즉, 부동산, 자동차, 금융자산 등의 가치만을 고려하여 재산 합계액을 산정합니다. 또한 재산에는 주택, 토지, 건축물(시가표준액), 승용자동차(시가표준액, 영업용 제외), 전세금, 금융자산, 유가증권, 회원권, 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 등이 모두 포함됩니다.

 

 

가구유형별 자녀장려금 지급액

자녀장려금은 가구 유형에 따라 소득 기준이 달라집니다. 

  • 홑벌이 가구: 배우자의 총급여액 등이 3백만원 미만인 가구, 또는 배우자가 없어도 부양자녀나 70세 이상 직계존속이 있는 가구
  • 맞벌이 가구: 거주자 및 배우자 각각의 총급여액 등이 3백만원 이상인 가구

맞벌이 가구는 홑벌이 가구보다 소득 기준이 더 관대하게 적용됩니다. 맞벌이 가구의 경우 총급여액이 2,500만원 미만이면 최대 100만원을 받을 수 있지만, 홑벌이 가구는 2,100만원 미만이어야 최대 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녀장려금 계산 시에는 "총급여액 등"이 기준이 됩니다. 총급여액 등에는 근로소득(총급여액), 사업소득(총수입금액 × 업종별 조정률), 종교인소득(총수입금액)이 포함되며, 이자소득, 배당소득, 연금소득 등은 제외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을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

네, 두 장려금의 신청 조건을 모두 충족한다면 동시에 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장려금은 가구 유형별로 단독가구 최대 165만원, 홑벌이가구 최대 285만원, 맞벌이가구 최대 330만원까지 지원됩니다. 자녀장려금은 자녀 1인당 최대 100만원까지 지원되므로, 두 지원금을 합하면 상당한 금액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Q 대출이 있어도 재산에 포함되나요?

네, 자녀장려금 재산 계산 시 부채는 차감되지 않습니다. 주택, 토지, 건물, 차량, 예금 등 자산의 가치만 고려하므로, 대출이 있더라도 재산 합계액에서 제외되지 않습니다.

Q 자녀장려금은 과세 대상인가요?

아니요, 자녀장려금은 비과세 소득으로 분류되어 세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받은 자녀장려금은 세금을 내지 않고 전액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홈택스 바로가기

 


 

2025년 자녀장려금, 최대 100만원 놓치지 마세요!


여러분은 자녀장려금을 받아본 적이 있으신가요?

어떤 도움이 되었는지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