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근로장려금 지급액: 가구 유형별 최대 300만원까지 지급되는 근로장려금, 나는 얼마 받는지 이 글에서 확인하세요!
2025년 근로장려금 지급액 알아보기
근로장려금은 소득 수준과 가구 유형에 따라 지급액이 결정됩니다. 소득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 소득이 증가할수록 장려금이 증가하고, 일정 구간에서 최대액을 유지하다가, 그 이상의 소득에서는 점차 감소하는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근로장려금 지급액에 대해 가구 유형별로 상세히 알아보고, 내가 받을 수 있는 금액을 쉽게 계산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가구 유형별 최대 지급액
2025년 근로장려금은 가구 유형에 따라 최대 150만원에서 300만원까지 지원됩니다. 가구 유형별 최대 지급액을 살펴보겠습니다.
가구 유형 | 최대 지급액 | 소득 요건 |
---|---|---|
단독가구 | 150만원 | 연간 소득 2,400만원 미만 |
홑벌이가구 | 260만원 | 연간 소득 3,600만원 미만 |
맞벌이가구 | 300만원 | 연간 소득 4,300만원 미만 |
가구 유형 판단 기준
1. 단독가구: 배우자와 부양자녀, 70세 이상 부양부모가 없는 가구
2. 홑벌이가구: 배우자 또는 부양자녀 또는 70세 이상 부양부모가 있는 가구 중 맞벌이가구가 아닌 경우
3. 맞벌이가구: 거주자와 배우자 모두 총급여액 등이 연 300만원 이상인 가구
부양자녀란 18세 미만 자녀, 또는 18세 이상 20세 이하로서 대학생이 아닌 자녀를 말합니다. 부양가족 여부는 소득과 재산 요건을 함께 고려하므로 정확한 가구 유형 판단이 중요합니다.
소득 구간별 지급액
근로장려금은 단순히 가구 유형만으로 결정되지 않고, 소득 구간에 따라 지급액이 달라집니다. 각 가구 유형별 소득 구간과 지급액 계산 방식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단독가구 지급액
소득 구간 | 계산 방식 | 최대 지급액 |
---|---|---|
0~400만원 (점증구간) | 총급여 × 37.5% | 최대 150만원 |
400만원~900만원 (평탄구간) | 150만원 정액 | 150만원 |
900만원~2,400만원 (점감구간) | 150만원 - [(총급여 - 900만원) × 10%] | 점차 감소 |
2. 홑벌이가구 지급액
소득 구간 | 계산 방식 | 최대 지급액 |
---|---|---|
0~700만원 (점증구간) | 총급여 × 37.1% | 최대 260만원 |
700만원~1,700만원 (평탄구간) | 260만원 정액 | 260만원 |
1,700만원~3,600만원 (점감구간) | 260만원 - [(총급여 - 1,700만원) × 13.7%] | 점차 감소 |
3. 맞벌이가구 지급액
소득 구간 | 계산 방식 | 최대 지급액 |
---|---|---|
0~800만원 (점증구간) | 총급여 × 37.5% | 최대 300만원 |
800만원~2,100만원 (평탄구간) | 300만원 정액 | 300만원 |
2,100만원~4,300만원 (점감구간) | 300만원 - [(총급여 - 2,100만원) × 13.6%] | 점차 감소 |
위 계산식에서 총급여는 근로소득, 사업소득, 종교인소득의 합계를 의미합니다. 여러 가지 소득이 있는 경우 모두 합산하여 계산합니다. 참고로 소득세가 비과세되는 소득(육아휴직급여 등)은 근로장려금 산정 시 총급여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근로장려금 지급일
2025년 근로장려금은 신청 방식에 따라 정기신청, 기한 후 신청, 반기별 신청 세 가지로 나뉘며, 각각 지급 일정이 다릅니다.
신청 방식 | 신청 기간 | 지급 시기 |
---|---|---|
정기신청 | 2025년 5월 1일 ~ 5월 31일 | 2025년 9월 |
기한 후 신청 | 2025년 6월 1일 ~ 11월 30일 | 2026년 1월 |
상반기 신청 | 2025년 8월 21일 ~ 9월 10일 | 2025년 12월 |
하반기 신청 | 2026년 2월 21일 ~ 3월 10일 | 2026년 6월 |
지급 방식
- 정기/기한 후 신청: 연간 근로장려금 전액 일시 지급
- 반기별 신청: 연간 근로장려금의 50%씩 반기별로 나누어 지급
- 지급 방법: 신청 시 입력한 계좌로 직접 입금
자주 묻는 질문 (FAQ)
아니요, 근로장려금은 과세 대상 소득이 아닙니다. 따라서 근로장려금을 받았다고 해서 추가로 세금을 납부할 필요가 없습니다.
네, 요건을 모두 충족한다면 두 가지 장려금을 동시에 받을 수 있습니다. 자녀장려금은 18세 미만의 부양자녀가 있는 가구를 대상으로 하며, 자녀 1인당 최대 70만원까지 지급됩니다.
네, 회사에서 연말정산을 해주는 직장인이라도 근로장려금은 별도로 신청해야 합니다. 연말정산과 근로장려금 신청은 별개의 절차입니다.
온라인으로 신청할 경우 별도의 서류 제출 없이 본인 인증 후 신청 가능합니다. 다만 가구원 확인을 위한 정보(주민등록번호 등)와 소득, 재산 관련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근로장려금, 신청부터 지급까지!
2025년 5월, 근로장려금 신청 기간을 놓치지 마세요.
여러분의 근로장려금 수령 경험이나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경제 · 생활 속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자녀장려금 신청기간 및 조건 : 최대 100만원 지원금 받기 (1) | 2025.04.18 |
---|---|
2025 자녀장려금 신청방법 : 최대 100만원 놓치지 마세요! (0) | 2025.04.18 |
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기간 및 자격요건 (최대 300만원) (0) | 2025.04.17 |
2025년 근로장려금 모의계산기 : 내 예상 지급액 미리 확인하기 (0) | 2025.04.17 |
소상공인 배달 택배비 30만원 정부지원! 지원대상 자격 확인하기 (0) | 2025.04.17 |